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ODA 지원현황 해외에서 흘리는 땀방울, 세계 곳곳 우리의 희망을 수확합니다.
해외농업투자정보

우리나라는 2010년 OECD DAC 가입 이후, 양적·질적 성장을 통해 중견 공여국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010년 OECD DAC 가입 이후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ODA 예산 확대를 통해 ODA 지원규모 및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최근 5년간 우리나라 총 ODA 지원 규모(증여등가액 기준)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비교적 높은 변동성을 보였으나, 팬데믹의 종결에 따라 ODA 지원 규모가 정상화되어 2022년에는 2,810백만 불을 지원하였고, ODA/GNI 규모는 역대 최고치인 0.17%를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양자 간 원조와 다자 간 원조는 각각 79%, 21%의 비율로 지원되었습니다.

양자간 원조의 경우 유상원조는 31%, 무상원조는 69%의 비율로 지원되었습니다. 분야별로는 사회 인프라 및 서비스 분야(47%, 2018~2022)를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아시아(46%, 2018~2021)와 아프리카(28%, 2018~2021) 지역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라 對우크라이나 지원이 급증하며 유럽 지역에 대한 지원 비중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우리나라 ODA 지원실적 더 알아보기 (ODA KOREA 홈페이지 연결)

우리나라 ODA 지원사업 전체 목록.xlsx (2024년 3분기 기준, IATI 정보 공개 자료)
출처 : ODA KOREA